1기 GTX(A, B, C) 노선의 연장 및 정차장 신설
- GTX - A 노선 평택 연장: 산업단지 입지, 고덕신도시, 평택시
- GTX - C 노선 동두천, 평택 연장: 북부 접경 도시의 지역균형개발
GTX-D 노선: 수도권 남부 동/서 더블 Y자 연결노선
- 김포에서 인천(원당~계약) ~ 부천(대장) ~ 부천종합운동장 ~ 서울(신림, 강남, 삼성, 잠실 등) ~ 하남(교산) ~ 남양주(팔당)로 연결
- 부천종합운동장에서 분기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, 삼성역에서 분기하여 경강선을 활용해 수서 ~ 성남 ~ 광주 ~ 이천 ~ 여주 연결
GTX-E 노선: 수도권 북부 동/서 연결노선
- 인천(검암, 계약) ~ 서울(김포공항, 디지털미디어시티, 신내) ~ 구리 ~ 남양주(다산, 양정) 연결
GTX-F 노선: 수도권 거점도시(경기) 순환노선
- 고양 ~ 서울 ~ 부천 ~ 시흥 ~ 안산 ~ 화성 ~ 수원 ~ 용인 ~ 성남 ~ 하남 ~ 남양주 ~ 의정부 ~ 양주 ~ 고양
GTX 노선을 따라 콤팩트 시티 건설
교통소외지역 ZERO를 목표로 어디세 살든지 생활용품 판매시설, 병원, 행정관청 등에 30분 이내 도착할 수 있는 최소 생활 교통서비스 제공
- 거주 지역별 최소교통서비스 진단 및 평가를 바탕으로 생활 네트워크 구축
- 공익서비스의무(PSO)를 위한 수요대응형 공영버스 제공
- 마을 택시(100원 택시), 무료 순환셔틀버스 제공 등
수도권 항공모빌리티(UAM) 테스트베드에 실증노선 상용화 서비스 추진
- 인천공항 ~ 여의도 ~ 강남권
교통 핵심 지점을 중심으로 항공모빌리티 네트워크 및 복합환승체계 도입
- 항공모빌리티 네트워크 구축계획 및 도심 공간 3D 복합환승 로드맵 수립
인접 지역에서 고속도로 휴게소를 통해 고속도로 진/출입이 가능하도록 무인 스마트 IC 설치를 확대하여 고속도로 접근성을 톺임
- 고속도로 휴게소 무인 하이패스 Gate 설치 확대로 인접 국도/지방도로 진/출입을 허용함으로써, 고속도로 접근 수혜지역 확대 및 지/정체 시 교통 우회 분산 기능 수행
고속도로 진/출입이 가능하게 한 휴게소 인근지역에 열차역(KTX 등)이 위치하는 경우, 철도-도로 연계 교통 환승 시스템을 구축하여 고속/시외버스-고속철도/열차 간 연계 환승 서비스 운영
- 고속버스, 시외버스, 지역버스, 택시, 승용차, 고속철도/열차 등 교통수단 간 유연한 환승 서비스 기능 추가로 교통수단 선택의 자유, 대중교통 노선 환승의 자유 확대
휴게소와 연계된 환승시설에는 지역특산물 판매, 인접 지역관광/레저 연계, 권역별 교통사고 대응 의료시설 등 국민 복리증진 및 지역경제 활성화 복합타운으로 개발
- 다양한 서비스 제공, 지역특산물 시장형성, 지역 주민의 고용 창출, 농가 수입 증가, 부가가치상승 등 지역 균형발전 도모